본문 바로가기
부동산경매

집행권원과 집행문의 차이가 뭔가요?

by 경매하는 동네언니 2024. 12. 23.

 

 

강제집행 절차에서 집행권원과 집행문은 반드시 필요한 중요한 법적 요건입니다. 아래에서 두 개념을 쉽게 잉해할 수 있도록 정리해두겠습니다.

 

집행권원이란?
- 집행권원은 채권자가 채무자에 대해 강제집행(예. 강제경매)를 요청할 수 있는 법적권리를 증명하는 문서입니다.
즉, 채무자가 채권자에게 특정 의무를 이행해야 한다는 사실을 확인한 문서라고 이해하면 됩니다

 

 

 

 

집행권원의 종류

 

1. 확정판결

  • 법원이 채무자에게 일정 금액을 지급하라고 판결한 문서
  • 예) '채무자는 채권자에게 1억원을 지급하라'는 판결문

2. 지급명령

  • 소송없이 간이 절차로 발급되는 문서
  • 채권자가 법원에 신청하여 채무자에게 금액 지급을 명령받습니다.

3. 화해조서 및 조정조서

  • 소송 과정에서 당사자 간 합의로 작성된 문서
  • 예. '채무자가 일정 기간 내에 변제를 하기로 합의'한 경우

4. 공정증서

  • 공증인이 작성한 문서로, 채무자가 특정 금액을 지급하겠다는 내용을 기록한 경우
  • 집행권원은 강제집행의 출발점으로, 법적 정당성을 증명하는 핵심문서입니다.

집행문이란?
집행문은 집행권원이 제집행에 적합하다는 것을 법원이 인증한 표시입니다.
즉, 집행권원을 근거로 강제집행을 실행할 수 있도록 법원이 승인한 절차를 거친 문서라고 보면 됩니다.

 

집행문 부여 절차

  1. 집행권원 확보 : 채권자는 판결문, 공정증서 등 집행권원을 준비합니다.
  2. 법원에 집행문 부여 신청 : 집행권원만으로는 강제집행이 불가능하며, 법원에서 집행문을 발급받아야 합니다.
  3. 집행문 내용 : 집행권원에 '이 문서는 강제집행에 사용할 수 있다'는 취지를 표시합니다.

집행문의 역할

  • 집행문이 부여되면, 채권자는 이를 근거로 채무자의 재산에 대해 강제집행(경매,압류 등)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.

집행권원과 집행문의 관계

 

1. 집행권원없이는 집행문을 받을 수 없음

  • 강제집행은 반드시 집행권원을 확보한 상태에서만 가능합니다.

2. 집행문은 집행권원의 실행 허가

  • 집행문은 집행권원을 실행 가능하도록 법원이 인증하는 과정입니다.

비유로 이해하기

  • 집행권원 : 당신이 돈을 받을 권리가 있다는 법적 증명서(예. 판결문)
  • 집행문: 이 증명서를 근거로 돈을 강제로 받아낼 수 있다는 법원의 허가

예시로 이해하기

 

사례1 : 확정판결을 통한 집행권원 및 집행문

  • A가 B에게 1억원을 빌려줬지만 갚지 않음
  • A는 소송을 통해 'B는 A에게 1억원을 지급하라'는 판결문(=집행권원)을 받음
  • A는 판결문에 집행문을 부여받아, B의 부동산을 강제경매에 부칩니다.

사례2 : 공정증서를 통한 집행권원 및 집행문

  • A와 B가 공증 사무소에서 'B는 1년 내에 5천만원을 갚겠다'는 공정증서를 작성
  • B가 이를 지키지 않으면, A는 공정증서에 집행문을 부여받아 B의 재산을 압류합니다.


Q. 집행권원 없이 강제집행을 진행할 수 있는 상황이 있나요?

 

1. 집행권원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 : 임의경매

  • 임의경매는 채권자가 담보물(예. 저당권, 근저당권이 설정된 부동산)을 근거로 경매를 신청하는 것이므로, 별도의 집행권원이 필요하지 않습니다.
  • 예. A가 B의 집에 저당권을 설정했고, B가 채무를 갚지 않으면서 A는 바로 임의경매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.

2. 법적 강제집행은 불가능

  • 집행권원이 없으면 강제집행(압류,경매 등)은 진행할 수 없습니다.
  • 예외로 채무자가 동의하거나 협의가 이루어진 경우에는 강제집행 대신 협의에 의한 변제가 가능할 수 있습니다.

Q. 집행권원이 준비되었는데, 집행문 발급이 거부될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?

 

1. 집행권원의 하자

  • 판결문, 지급명령 등 집행권원에 법적 문제가 있거나, 채무가 이미 변제되었는데 이를 모르고 집행문을 요청한 경우

2. 집행 불허 사유

  • 집행권원이 법적으로 강제집행 요건을 충족하지 못한 경우
  • 예. 판결문에 강제집행 조건이 명시되지 않았거나, 판결이 확정되지 않은 상태

3. 부당한 집행 요청

  • 채무자가 이미 채무를 변제했거나, 집행권원의 기한이 지나 효력이 상실된 경우

Q. 지급명령도 집행권원으로 인정되나?

1. 지급명령의 효력

  • 지급명령은 확정판결과 동일한 효력을 가지며, 집행권원으로 인정됩니다.
  • 지급명령은 소송보다 간단한 절차로 채무자의 동의없이도 법적 표력을 가질 수 있습니다.

2. 확정된 지급명령

  • 지급명령이 확정된 상태여야만 집행권원으로 사용가능합니다.
  • 예. 채무자가 지급명령에 이의를 제기하지 않아 확정된 경우

3. 집행문 부여

  • 확정된 지급명령에 집행문을 부여받으면 강제집행(경매, 압류 등)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.

Q. 집행문 부여 이후 강제집행이 바로 가능한가?

 

1. 강제집행 가능

  • 집행문이 부여되면 채권자는 이를 근거로 법원에 강제집행(경매, 압류 등)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.
  • 집행문은 강제집행의 최종 허가로, 이를 통해 집행 절차가 진행됩니다.

2. 추가 절차

  • 집행문을 받은 후, 채무자의 재산(부동산, 동산, 채권 등)을 특정하고 압류 또는 경매를 신청해야 합니다.

3. 즉시성

    • 집행문 부여 이후에는 법적 제한이 없는 한 강제집행을 바로 진행할 수 있습니다.
    • 단, 채무자가 이의 제기나 변제를 통해 집행을 지연시킬 가능성도 고려해야 합니다.
반응형